분야 |
제목 |
기관 |
설명 |
취약점 진단 및 모의해킹 분야 |
01.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기술적 취약점 분석 평가 방법 상세가이드 |
KISA |
|
|
02.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기술적 취약점 분석 평가 방법 해설 |
KISA |
|
|
03.국가정보보호실무기술편람 |
국가정보원 |
오래된 자료, 보안의 A to Z |
|
04.사이버 위협 인텔리전스 보고서 |
금융보안원 |
금융 관련 Reference / 분기별 발간 |
개인정보보호 분야 |
05.개인정보보호법 해설서 |
행정안전부 |
기본적인 것 |
|
06.개인정보의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 해설서 |
행정안전부 |
개인정보의 생명주기 관점, 보호 관점 |
|
07.개인정보의 기술적 관리적 보호조치 기준 해설서 |
방송통신위원회 |
개인정보의 제3자 제공, 위수탁 등 활용의 관점 |
|
08.개인정보 영향평가 수행 안내서 |
KISA |
|
|
09.우리 기업을 위한 GDPR 안내서 |
KISA |
유럽 개인정보 관련, 유럽 진출시 안 하면 큰일남 |
금융보안 분야 |
10.전자금융감독규정 해설서 |
금융감독원 |
|
|
11.금융분야 개인정보보호 가이드라인 |
금융감독원 |
|
|
12.금융회사 침해사고 준비도(Readiness) 가이드 |
금융보안원 |
포렌식 |
|
13.금융 ISMS 인증기준 항목 |
금융보안원 |
ISMS |
|
14.’전자금융과 금융보안’ 정기 간행물 |
금융보안원 |
|
정보보호 관리체계 분야 |
15.정보보호 사전점검 해설서 |
KISA |
일상적 |
|
16.정보보호 관리체계(ISMS) 인증 제도 안내서 |
KISA |
|
|
17.ISMS 인증심사원 자격검정 안내서 |
KISA |
주요 결함 |
|
18.개인정보 관리체계(PIMS) 인증 제도 안내서 |
KISA |
|
|
19.PIMS 인증심사원 자격검정 안내서 |
KISA |
|
|
20.정보보호 시스템 구축을 위한 실무 가이드 |
KISA |
정보보호 시스템 구축을 위한 가이드 |
암호 및 개발보안 분야 |
21.암호이용 안내서 |
KISA |
암호는 보안의 기본, 활용되는 분야, 모듈로 탑재되어 있음 |
|
22.소프트웨어 개발 보안 안내서 |
KISA |
웹, 어플리케이션 개발할 때 안전하게 하는 방법 / 함수, 테스트, 배포, 파기 등 |
|
23.소프트웨어 보안약점 진단 가이드 |
KISA |
|
|
24.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보안 가이드 |
SK인포섹 |
알게 모르게 많이 사용 / 사용 안 하는게 제일 좋고, 사용한다면 안전하게 사용 |
|
25.SW업데이트 체계 보안 가이드라인 |
국가보안기술연구소 |
2007년 자료 |
신기술(ICBM) 분야 |
26.IoT 공통보안 가이드 |
KISA |
|
|
27.개인정보 비식별 조치 가이드라인 |
행정안전부 |
|
|
28.모바일 오피스 정보보호 안내서 |
KISA |
|
|
29.바이오 정보보호 가이드라인 |
방송통신위원회 |
|
|
30.클라우드 서비스 정보보호 안내서 |
KISA |
|
|
31.클라우드 서비스 보안인증제 안내서 |
KISA |
|
|
32.클라우드 취약점 점검 (CCE) 자체 점검 가이드 |
KISA |
취약점 Script 있음 |
신산업 분야 |
33.스마트공장 중요정보 유출방지 가이드 |
KISA |
|
|
34.홈,가전 IoT 보안가이드 |
KISA |
|
|
35.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 보안 가이드라인 |
국가보안기술연구소 |
|
|
36.스마트의료 사이버보안 가이드 |
KISA |
|
|
37.스마트교통 사이버보안 가이드 |
KISA |
|